한국만큼 일본에서도 시장의 혁신을 꿈꾸는 스타트업들이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 스마트폰 보급과 함께 커머스, 게임, 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흥 강자가 등장하고 있다. Japan Venture Research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3년(8352억원)부터 2016년(21406억원)까지 일본의 신규투자 금액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2016년 10억엔(약 102억원) 이상 조달한 벤처의 수도 46개 사에 달한다.

기회와 가능성을 본 일본 청년들도 스타트업으로 모이고 있는 가운데, 한홍원 매니저는 한국에서의 생활을 정리하고 2016년 돌연 일본 스타트업계로 넘어왔다. 일본에 지인이 있는 것도 아니고, 일본어를 할 줄 몰랐지만, 이메일 한통이 그를 일본에 정착하게 만들었다. 지금 돌이켜보면 무모한 했지만, 새로운 도전에 나선 한홍원 매니저(사진)를 만나서 짧은 시간 강렬하게 경험한 일본 스타트업 생활기에 대해 이야기 나눴다.

한홍원 네오에듀 프로덕트 매니저

한홍원 매니저는 MBA 과정을 마치고 한국에서 직장생활을 하던 중 창업에 눈을 뜨게 됐다. 해외에서 관심을 갖고 지켜보던 아이디어가 있었는데, 한국에서 비슷한 방식으로 시장에 접근하고 있던 스타트업을 알게 된 후 초기 멤버로 합류하게 됐다. 투자유치, 인수합병 등 승승장구 할 때도 있었고, 반면 뜻대로 일이 진행되지 않아 어려운 시절도 있었다. 하지만 스타트업에 온 것에 대해 후회하지 않았다. 첫 스타트업 이후, 휴식 겸 일본 여행을 준비하면서 호기심을 가지고 지켜보던 스타트업에 메일을 보냈는데, 만나고 싶다는 답변이 왔다.

“가볍게 만나서 이야기 나누고 싶다는 생각으로 명품가방을 렌탈해주는 스타트업인 ‘Laxus’에 메일을 보냈습니다. 일본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던 스타트업 중 한 곳이였습니다. 마침 Laxus 측에서도 한국 진출을 고민하고 있었죠. 이를 계기로 제가 간단하게 시장조사를 해주면서 만남을 이어나갔고, 일본 스타트업에 합류하게 된 계기가 됐습니다.”

일본에 거주하기 위한 비자 및 숙소는 회사에서 도움을 줬지만, 한국에서 온 이방인에게 다른 언어 및 환경은 매우 낯설게 다가왔다. 아무래도 가장 큰 문제는 언어였다.

“간단한 업무는 영어로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지만, 일본에서 일본어를 못하면 생활자체가 어렵습니다. ‘언어를 모르면 그 나라를 이해한 것이 아니다’라는 말이 딱 맞는 것 같아요. 개인적으로 일본어를 못해서 느끼는 이질감과 불편함의 강도가 매우 컸습니다. 번역기를 사용하더라도 커뮤니케이션 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제가 맡은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서 한정된 시간 안에 대표를 납득시키기란 매우 어려운 부분이었죠. 성과측정 관련해서도 놓치는 부분이 많다고 생각됩니다. 당시 사내에 영어를 할 수 있는 팀원이 없었기 때문에 더 힘들었던 것 같아요. 그래서 지금은 일본인 친구도 만나고, 학원도 다니며 열심히 일본어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Getty images

그는 언어뿐만 아니라, 일본이 가진 특유한 업무환경에도 적응해야 했다고 이야기했다.

“기업마다 성향이 다르겠지만, 일본 기업 특성상 모든 업무를 매우 신중하게 진행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신뢰관계를 기반으로 비즈니스가 진행되는 편입니다. 한국 진출을 준비하면서 여러 파트너를 만났지만, 해외진출에 대한 두려움과 파트너에 대한 신뢰가 부족하여 의사결정이 더디게 진행될 때가 종종 있었죠. 업무가 지연될 정도로 너무 신중할 때면 실제 업무를 하는 입장에서 매우 답답한 경우도 많았죠.”

빠른 의사결정과 행동력이 우선시 되는 스타트업이라도 일본이 가진 기업문화의 특징은 쉽게 변화하지 않는 요소였다.

“자유로운 복장, 빠른 의사결정, 수평적인 구조 등 스타트업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죠. 일본의 스타트업도 이처럼 변화하고 있는 추세지만, 기존의 보수적인 문화를 유지하고 있는 곳도 많은 것 같아요. 한국 스타트업 사무실은 시끌버적하게 의견을 주고 받는 모습이었는데, 일본 스타트업 사무실은 그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용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또한, 한국에서는 스타트업끼리 서로 의지하고 무엇이든 우선 같이 해보려는 경향이 있었는데, 제가 만난 일본의 스타트업들은 그렇지 않았죠. 콜라보를 하더라도 서로 필요한 부분을 꼼꼼히 따져가면서 진행하더라구요.”

이미지: Getty images

최근 그는 에듀테크 스타트업 ‘네오에듀’에 프로덕트 매니저로 합류했다. 앞으로 다양한 경험을 쌓고 일본 시장에 대해 더 배우고 싶다고 이야기했다.

“현재 개발중인 프로젝트가 있는데, 우선 저희 팀이 일본시장에서 자체적으로 프로젝트를 잘 진행할 수 있는지 스스로 체험해보고 싶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일본 시장에 대해서 전문가라고 이야기 할 수 있을 정도의 경험을 쌓고 싶습니다. 먼저 일본어부터 배워야겠지만요.(웃음)”

 

[일본을 말하다] 시리즈
(1) 일본기업 20곳 합격, 그 이후…우나리 야후재팬 부장
(2) 일본 마케팅 키워드 ‘로컬 매체, 트위터 그리고 대세감’…문성신 CyberZ 한국지사장

 

 

 

[fbcomments url=”http://ec2-13-125-22-250.ap-northeast-2.compute.amazonaws.com/2017/10/13/japan-hahnhongwon/” width=”100%” count=”off” num=”5″ countmsg=”wonderfu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