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운영자(CEO)가 1월 28일(한국시간) 자신의 페이스북 페이지에 2015년 4분기 페이스북 이용자 현황을 공개했습니다.

We just announced our quarterly results and shared an update on our community’s progress to connect the world. Our…

Posted by Mark Zuckerberg on 2016년 1월 27일 수요일

세부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페이스북 월간활성이용자(MAU) – 15억9000만명
와츠앱 MAU – 9억명
페이스북 메신저 – 8억명
인스타그램 – 4억명
안전 체크(Safety Check) 이용자 – 9억5000만명 이상(2015년 연간)
그룹 MAU – 10억명
페이지를 통한 스몰 비즈니스 운영 – 5000만명
인터넷오알지 이용자 – 1900만명
오큘러스 SW 장착한 삼성 기어 VR – 출하
페이스북 2015년 4분기 이용자 현황 발표. 출처: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이번에 발표된 그래픽은 페이스북이 운영하는 ‘서비스’를 필두로 내세웠으며, 그것 뿐만 아니라 페이스북이 운영되는 주요 ‘내부 서비스’의 실적을 순차적으로 공개하는 구조입니다. 두 가지 의미를 정리하고자 합니다.

#와츠앱+페이스북메신저>페이스북

페이스북 두 메신저의 MAU 총합이 페이스북 자체 MAU를 넘겼습니다. 물론, 와츠앱과 페이스북 메신저를 기계적으로 더했을 경우의 결과입니다. 북미 지역의 최강자 와츠앱, 그리고 북미 지역 최고의 SNS 페이스북이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중복 이용자를 제거하면 15억명을 넘기지는 못할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럼에도 메신저 2인방의 활약은 페이스북의 다음 스텝(step)과 관련해 작지 않은 의미가 있습니다. 지난 2014년 페이스북이 와츠앱을 약 23조4000억원에 달하는 거금에 인수를 하며 파란을 일으켰습니다. 원래 와츠앱은 연간 1달러를 회원으로부터 받았던 유료 모바일 메신저였는데요. 페이스북은 최근(1월 19일) 이 연회비마저 없애는 결정을 합니다. 9억X1달러=9억달러(약 1조827억원)를 포기한 셈입니다.

페이스북은 와츠앱마저 무료화하며 이용자를 확보하고자 안간힘을 쓰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요. 왜 그랬을까요? 2년 전 아래와 같은 글을 썼습니다.

PC 시대에는 사람들이 인터넷 창을 켰을 때 네이버나 다음 같은 포털 사이트나 구글 같은 검색 엔진의 메인 화면이 가장 먼저 떴습니다. 인터넷을 연결하는 목적이 ‘검색’에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모바일의 경우는 상대와의 대화가 목적입니다. 그러므로 메신저 앱을 누르는 비중이 엄청나게 늘어난 것이고, 메신저가 플랫폼을 자청하게 된 것입니다. SNS는 플랫폼의 역할을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여기에 메신저까지 가져가게 된다면 PC 시절 포털이나 검색엔진의 영향력을 모바일에서도 발휘할 수 있겠지요. 사물인터넷(IoT) 시대가 본격화된다고 하더라도 모바일을 뺄 수 없습니다. 스마트워치, 스마트링, 글래스 등의 기기들이 독자적으로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에는 전력, 통신 등의 한계가 있습니다. 자연히 모바일을 허브로 둔 채 블루투스 등으로 연결하는 방법이 합리적인 선택입니다. – 메신저, 모바일 시대의 허브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SNS)를 갖고 있음에도, 이것만으로는 모바일과 넥스트 모바일 시대를 장악한다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저커버그도 잘 알고 있었습니다. 모바일 시대를 거치면서 사람들의 개인화 경향은 더욱 커져가고 있기에 이들이 주력으로 사용하는 메신저를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장악할 필요성을 느낀 것이겠죠. 여기서 그치지 않습니다. 추후 사물인터넷(IoT) 시대가 열리게 되면 사람과 기계, 기계와 기계가 대화를 할 허브가 필요합니다. 이 역시 메신저에서 담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미 하고 있는 곳들도 있죠.

LG전자는 2014년 4월 말 모바일 메신저 라인(LINE)에서 홈챗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이번에 카카오톡으로 확대했다. 오는 21일 광파오븐을 시작으로 이달 말까지 냉장고·세탁기·에어컨까지 모두 연동할 계획이다. 홈챗은 스마트폰을 통해 LG 스마트가전과 친구처럼 일상언어로 채팅할 수 있는 서비스다. 카카오톡에 접속 후 ‘LG 홈챗’ 플러스친구를 등록하면 문자 대화를 통해 ▲제품 원격제어 ▲모니터링 ▲콘텐츠 공유 등을 할 수 있다. – LG전자 ‘홈챗’ 서비스, ‘카카오톡’으로 확대

페이스북은 현재의 주도권을 잡는 것뿐만 아니라 앞으로 올 시대의 ‘연결’을 주도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그 핵심이 메신저라는 판단을 하고 있는 것이죠. 이미 자체 메신저에서는 이용자 간 P2P(Peer to Peer) 형태의 송금 기능을 추가할 준비를 하고 있으며, 주요 뉴스 및 광고 역시 메신저를 기반으로 오가게 하고자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는 점도 주의깊게 볼 필요가 있습니다.

#페이스북 이용자의 ‘그룹화’?

개인적으로 한 가지 더 흥미로운 점은 페이스북 그룹 이용자의 MAU 수치가 10억명을 넘었다는 점입니다. 페이스북 MAU 15억9000만 명 중 약 60%의 인원이 그룹에 있다는 의미인데요.

개인적으로 자주 방문하는 페이스북 생활코딩 그룹. 가입자만 5만 명이 넘었다.

사람들이 그룹에 모이는 이유는 뭘까요. 한 번 더 생각해보면 바로 답이 나옵니다. 페이스북의 기본 구조는 ‘친구’와 ‘팔로우’로 구성돼 있습니다. 친구를 맺거나 관심있는 사람의 콘텐츠를 구독함으로 소통(Interaction)을 만들어가는 형태입니다.

문제는 친구가 많아지면서 발생합니다. 친구가 100명쯤 됐을 때는 모든 친구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1000명이 되면 어떻게 될까요? 그래도 노력하면 거진 다 지켜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2000명, 3000명이 넘어가면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워집니다. 명목상 친구이긴 하나 타임라인에서 편하게 보는 것이 불가능하죠.

페이스북은 자체 알고리즘을 통해 최근에 자주 대화를 주고받거나, 그간 좋아요와 공유를 해온 대상의 콘텐츠를 자주 보여주는 방식으로 완충 장치를 만들었습니다. 그것만으로 부족했는지 최근에는 특정 친구들만 ‘미리 보기’ 지정을 해 이들의 콘텐츠를 최우선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룹 역시 주요한 완충지대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사람과 사람을 ‘관심사’라는 연결고리로 묶어준 공간이기 때문입니다. 프로그래밍이 궁금한 초급자들은 생활코딩에서, 중국 비즈니스가 궁금한 사람은 중국비즈니스네트워크 그룹에서, 물류가 궁금한 사람은 물류로 등등. 그 안에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을 일으키도록 그룹이란 기능을 넣었고, 그 결과 10억 MAU란 성과를 남겼습니다.

페이스북이 꿈꾸는 세상은 모바일, 그리고 모바일 이후의 세상에서도 모든 사람들이 가장 첫번째로 접속하는 ‘플랫폼’일 것입니다. 이번 이용자 현황 발표는 페이스북의 원대한 비전 아래 메신저, 그룹을 필두로 이용자들을 집결하는 그림이 담겨있는 건 아닐까요.

[fbcomments url=”https://s3.ap-northeast-2.amazonaws.com/mobiinsidecontent/index.php/2016/01/28/facebook-user-1/” width=”100%” count=”off” num=”5″ countmsg=”wonderfu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