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 김복순 씨는 케이팝 가수 싸이의 메가 히트곡 “강남 스타일”을 통해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서울 남부의 고급 지역인 강남의 베란다에서 백만 달러짜리 뷰를 누리고 있다.

베란다에서는 전용 스파와 실내 골프장이 있을 정도로 호화로운 고층 아파트 타워를 비롯해 한국에서 가장 높고 화려한 건물들이 내려다보인다.

하지만 이런 라이프스타일은 김 대표가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이 아니다. 그녀는 메르세데스를 몰고 승마를 즐기는 “강남 스타일”의 패셔니스타가 아니다. 그녀의 집은 엄밀히 따지면 강남구에 속하는 구룡마을의 합판 패널과 폐플라스틱, 고철로 만든 판잣집에 마주보고 앉아 있다.

VIP 라이프스타일은 이렇게 가까이 있지만 아주 멀기도 하다.

60세인 이 여성은 버스를 타고 2마일만 가면 가정부로 일하는 반짝이는 새 콘도에 도착할 수 있다. 하지만 그녀는 “빈부 격차”를 가로지르는 통근길이라고 말한다.

“대리석 바닥부터 에어컨이 설치된 방까지… 모든 것이 꿈속에 있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라고 그녀는 말한다. 그녀의 집 바닥은 비닐로 만들어져 있고 여름철 더위를 이겨낼 수 있는 것은 작은 선풍기뿐이다.

 



김씨의 집과 직장 사이의 거리는 가깝지만 사회경제적 격차는 엄청나다.

김씨의 상황은 선거 때마다 불거지는 정치-사회적 문제이지만 지금까지 해결이 쉽지 않은 빈부 격차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2019년 오스카상을 수상한 한국 영화 ‘기생충’은 가난한 한 가족이 많은 사람들이 느끼는 좌절감을 견뎌내는 모습을 통해 이 문제를 잘 표현했다.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는 기업 실패와 광범위한 해고를 촉발했고, 이로 인해 경제적 불평등이 커지는 계기가 되었다.

그 격차는 작년에 한국의 상위 20%가 하위 20%의 평균 자산의 64배를 기록하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설상가상으로 많은 사람들이 한국판 아메리칸 드림을 실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느끼고 있다.

‘금수저를 물고 태어난’ 사람들은 가족 덕분에 값비싼 사교육을 받고 안락한 직장에 취직할 수 있다고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특권이 없는 ‘흙수저’를 물고 태어난 사람들은 출세할 기회가 전혀 없다고 말한다.

이러한 불평등은 한국의 경제 변화 과정에서 번영을 누린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강남의 축소판에서 더욱 극명하게 드러난다.

두 가지 모두 한국이 독재에서 민주화된 아시아의 호랑이로 변모하는 과정에 뿌리를 두고 있다.

1988년 하계 올림픽을 준비하기 위해 서울의 군부 지도자들은 경기장, 공원, 교통망을 건설하기 위해 낙후된 동네를 철거했다.

 

 


“강남”은 “한강의 남쪽”이라는 뜻으로 서울 남부의 지역이 이 프로젝트의 가장 큰 수혜를 입었고, 새로운 대한민국, 그리고 누보리치와 빠르게 연관되었다.

그러나 철거민들은 구룡마을과 같은 지역에 약 66에이커의 면적에 1,100가구로 구성된 불법 거주지를 세웠으며, 화재, 홍수 및 기타 재난으로 인해 그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지난 1월에는 화재로 마을의 60여 가구가 소실되기도 했다.

정부는 수년 동안 이 지역을 재개발하기 위해 노력해왔지만 공무원, 주민, 토지 소유주들이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두 극단이 나란히 존재하고 있다.

 

 

 


 

 

기사원문 : Washington Post (2023.07.06) <Gangnam style vs. squalor: Inequality in South Korea’s most famous area>

SEOUL — Kim Bok-soon has a million-dollar view from her porch in Gangnam, the upmarket district in southern Seoul that was made internationally famous through K-pop singer Psy’s megahit “Gangnam Style.”

She looks out over some of South Korea’s tallest and glitziest buildings, including high-rise apartment towers so luxurious they have their own spas and indoor golf ranges.

But this is not the lifestyle Kim leads. She is not part of the Mercedes-driving, horse-riding fashionistas of “Gangnam Style.” Her porch sits affront a shack made of plywood panels, scrap plastic and corrugated metal in Guryong, a sprawling shantytown that is technically in the Gangnam district.

The VIP lifestyle is so close, yet so far.

The 60-year-old needs to ride the bus for only two miles to get to the shiny new condo where she works as a maid. But it’s a commute across, she says, “the gulf between the rich and poor.”

“From the marble floor to air-conditioned rooms … everything there makes me feel like I am in a dream,” she said. Her floor is made from sheets of vinyl, and she has only a small fan to contend with the summer heat.

While the distance between Kim’s home and her workplace is small, the socio-economic divide is enormous.

Kim’s situation sums up the widening economic divide, a political and social issue that comes up at every election but has so far proved intractable.

This was encapsulated in 2019 through the Oscar-winning South Korean movie “Parasite,” in which a poor family endures the frustrations felt by many.

The Asian financial crisis of 1997, which triggered business failures and widespread layoffs, set in motion growing economic inequalities.

That gap hit a record last year, when South Korea’s richest 20 percent recorded 64 times the average wealth of the bottom 20 percent.

Making matters worse, many people feel it’s impossible to live out a Korean version of the American Dream.

People “born with a golden spoon” in their mouths can expect to enjoy expensive private education and land cushy jobs thanks to their well-connected families. But those without such privileges — born with “dirt spoons” — say they never have a chance of getting ahead.

Nowhere is this inequality more evident than in the microcosm of Gangnam, home to those who have flourished during South Korea’s economic transformation and those who have not.

Both have their roots in South Korea’s transition from dictatorship to democratic Asian tiger.

In preparation for the 1988 Summer Olympics, Seoul’s military leaders razed run-down neighborhoods to build stadiums, parks and transit networks.

Neighborhoods in southern Seoul — “Gangnam” means “south of the [Han] river” — benefited the most from these projects and quickly became associated with the new South Korea — and the nouveau riche.

But those who were displaced set up squatter settlements in areas like Guryong, which covers about 66 acres and comprises 1,100 households — a number that is steadily getting smaller thanks to fires, floods and other disasters. A blaze in January destroyed some 60 homes in the village.

The government has been trying to redevelop the area for years, but officials, residents and landowners can’t agree on terms.

And so the two extremes exist side by side.